이번에 리뷰할 제품은 콕스의 신제품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입니다.
COX CMK63R는 이미 출시된 적이 있는데 등고선 디자인의 키캡이 적용되어 아마돈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는 제품이기에 키캡 디자인 이외 기능적으로 차이는 없는 편인데요.
래피드 트리거를 지원하는 만큼 소프트웨어를 통해 어떤 설정이 가능한지 꼼꼼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뷰~ Start!!
패키지 & 스펙 정보
패키지는 레드 컬러 백라이트의 등고선 이미지가 꽤 인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CMK63R 모델명과 아마겟돈 에디션 강조, HAIMU 저소음 자석축, PBT 이중사출 키캡, 디폴트 8K 폴링 레이트 등의 정보로 제품의 특징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 뒷면에는 제품의 스펙 정보와 포인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키캡 설명에서는 체리 프로파일의 이색사출 공법으로 제작된 PBT 키캡이라고 설명하고 아래에 등고선 라인 키캡 설명으로 3D 염료승화 방식으로 만들어낸 아마겟돈 에디션이라고....
내가 알고 있는 염료승화가 아닌가?
암튼 스펙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크기 : 302.4 x 118.5 x 39.5mm
- 무게 : 888g
- 스위치 : HAIMU Silent Magnetic
- 키캡 : PBT 염료승화 (체리 프로파일)
- 레이아웃 : 63Keys
- 백라이트 지원 : RGB
- USB 폴링 레이트 : 8000Hz
- 지원 OS : Win, MAC
제품은 키보드 본체, 투명 더스트 커버, USB-A to C 케이블, 키캡&스위치 리무버, 사용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품 살펴보기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는 60% 배열의 63 키 레이아웃으로 디자인된 제품으로 등고선 라인과 측각으로 각인 처리된 PBT 이중사출 키캡이 사용되었으며 플라스틱 하우징을 사용했지만 다양한 흡음재 사용으로 통울림 없는 단단한 키감을 제공합니다.
자체 경사와 체리 프로파일 조합이지만 1단 높이 조절은 조금 심심할 수 있는데 2단계 높이 조절을 통해 좀 더 편하게 타이핑할 수 있었습니다.
하판 높이 조절 다리와 위/아래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 실리콘 패드 모습.
키캡을 제거 시 하우징 안쪽으로 가스켓 실리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FR4 보강판의 텐션과 가스켓 방식의 실리콘 조합 거기에 층층이 적용된 흡음재를 통해 통울림 없는 타이핑이 가능했는데 여기에 HAIMU 저소음 자석축이 플러스되어 알루미늄 커스텀 못지않은 정숙함을 제공합니다.
보강판에 부착되는 체리방식의 스빌라이저 또한 안정적인 키보드 빌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체리 프로파일의 PBT 이중사출 키캡은 꽤 두툼한 편이며 3D 키캡이라 언급한 것과 같이 측각 부분도 레이저 각인이 아니 사출로 제작되어 정방향 키캡의 LED 라이팅을 잘 표현합니다.
홀 이펙트를 지원하는 자석축을 사용한 만큼 보강판과 홀센서와 자석이 접촉되는 중앙 부분을 제외한 양쪽에 고정핀이 사용되어 스위치 체결 시 견고하게 결합되네요.
제품 특징
▶ 화려한 RGB 효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RGB 효과와 Fn 키 조합으로 선택하는 효과로 RGB 백그라운드 LED 효과를 선택할 수 있는데 가급적 프리뷰로 키보드와 소프트웨어의 LED 효과가 동기화되어 표현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시는 쪽이 편하실 거 같습니다.
등고선 라인이 있어서 그런지 글자 위주의 백라이트보다 뭔가 분위기가 있어 보입니다.
▶ 사용자를 배려하지 않는 키배열
표준 배열을 기준으로 보면 <, >,? 키가 같이 붙어 있는 형태지만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은 방향이 형태를 갖추기 위해 ? 키를 떨어뜨려 놓은 레이아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사용자가 적응하기 나름이겠지만 집이나 회사에서 키보드를 바꿔서 사용하는 경우 평소와 다른 방식의 키 조작을 염두 해야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자/특수 기호 키 미지원
스페이스바 오른쪽에 Alt, Fn 키로 구성된 제품의 경우 오른쪽 Ctrl 키가 없기에 Fn + 오른쪽 Alt 키 조합으로 사용하게 기본으로 설정해 주면 좋은 몇몇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설정이 없는 상태로 판매를 하고 있는데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또한 이런 설정이 없이 판매되고 있어 키보드에 전문 지식이 없는 분들은 많이 난감하게 됩니다.
다행히도 소프트웨어를 확인해 보니 Fn 레이어 메뉴를 통해 키 리맵핑 기능을 이용하면 Fn + 오른쪽 Alt 조합을 오른쪽 Ctrl 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하니 사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그만큼 사용자를 배려하지 않는 부분은 살짝 아쉽긴 하네요.
소프트웨어
전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메뉴 구성에 따른 세부 메뉴가 많은 편이기에 그냥 보면 뭔가 복잡해 보이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그렇게 어려운 편은 아니네요.
첫 번째 키 커스텀 메뉴의 핵심 기능은 키 리맵핑, 조합 키, 매크로, 고급 키, 텍스트 외 보통의 키 설명 메뉴를 다루고 있습니다.
두 번째 트리거 설정은 자석축의 강점인 입력 지점 설정과 래피드 트리거 설정을 할 수 있는데 0.1mm 설정이 가능하다는 광고와 다르게 0.08mm ~ 3.40mm의 입력 지점 선택과 0.04 ~ 0.20의 트리거 설정이 가능했습니다.
세 번째 조명 설정은 키보드의 효과와 동기화되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보이기에 다양한 효과의 밝기, 속도, 진행 방향 및 컬러 선택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여 편하고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하드웨어 버튼 조합보다 소프트웨어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그다음 성능 메뉴는 게임을 할 때 방해되는 다양한 조합 키를 비활성화하는 기능과 윈도우즈의 키보드 속성을 띄우는 메뉴로 구성되어 있고요.
고급 키의 경우 DKS와 MT, TGL 기능을 지원하며 PRCS 메뉴는 요즘 핫하게 사용하는 스냅 탭을 지원하는데요.
스냅 탭은 A, D키로 무빙을 하는 경우 A를 누른 상태에서 D 키를 누르고 떼면 A 키가 작동하는 기능으로 캐릭터의 움직임을 빠르게 가져갈 수 있는데 Fn + 왼쪽 쉬프트 키를 누르면 활성화되어 사용이 가능하지만 게임에 따라 이 기능을 이용 시 계정을 벤 당할 수 있으니 게임에서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위의 기능을 설정하고 키 커스텀의 고급 키에서 해당 기능을 선택해야 사용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그 외 매크로 기능은 일반적인 매크로 기능과 크게 차이 나지 않습니다.
키 커스텀 메뉴에서는 기본 레이어와 FN 레이어의 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1 ~ + 키는 F 펑션열, U, I, O ~ M, <, >는 텐키리스의 모디키에 해당되며 그 외는 LED On/Off 및 효과, 속도 조절, 밝기, 방향 선택으로 사용하게 되고요.
매뉴얼에 표기되어 있지 않아 뭐지? 했 부분은 A, S키 기능은 윈도우와 맥 OS 선택 그리고 Z, X 키는 Esc키 측면에 LED 컬러 효과 선택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게 Fn + 스페이스바를 3초간 눌러 초기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좋았습니다.
사용느낌
플라스틱 하우징 내부에는 다양한 흡음재가 적용되어 있고, 가스켓 방식으로 체결된 FR4 보강판이 특유의 탄력감을 제공해 묵직하면서도 부드러운 타건감과 더불어 확실히 소음이 없는 편이고요.
래피드 트리거 기능의 경우, 최저 0.08mm부터 다음 단계인 0.12mm까지 급격하게 전환되는 구조라 세밀한 조정보다는 대략적인 감도로 만족해야 하는 부분과 DKS, MT, TGL 기능과 PRCS 설정은 키를 직접 누르는 방식이 아니라 키보드 키 메뉴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라 적응하기까지 약간 어색하게 느껴졌습니다.
앞서 간단히 언급했지만 ? 키가 사이드로 완전히 분리된 배치는 실제 사용 시 생각보다 불편한 편이라 타이핑을 하다가 자주 자판을 확인하게 되어 타이핑 시 흐름이 끊기는 상황이 자주 연출되기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할 듯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저소음 자석축 키보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60% 배열은 컴팩트한 미니 배열로, 책상 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필자의 경우 타이핑을 오래 해야 하는 작업이나 게임을 할 때 주로 미니 배열 키보드를 자주 사용하는 편으로 다년간의 경험을 보았을 때 미니배열은 공간 활용과 퍼포먼스 측면에서 최적화된 배열이라 생각합니다.
COX CMK63R는 소음이 심한 자석축과 다르게 흡음재와 저소음 자석축을 사용해 정숙한 타이핑이 가능하며, 래피드 트리거 기능 덕분에 게임 퍼포먼스도 뛰어납니다. 여기에 다양한 RGB 효과와 LED 라이팅에 특화된 등고선 PBT 키캡이 적용돼 디자인적인 만족감도 주는 제품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60% 배열과는 조금 다른 몇몇 요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미니 배열을 접하는 분들에겐 약간의 적응 기간이 필요할 수 있기에 새로운 배열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공간과 효율을 중시하는 분들께 추천드리며 리뷰를 마칩니다.
계속해서 신박한 제품 리뷰를 이어가겠습니다.
#COX #CMK63R #아마겟돈 #에디션 #저소음 #자석축 #게이밍키보드 #래피드트리거 #뚜비뚜비뚜뚜바 #idsam209
'하드웨어 이야기 > 키보드 | 키캡'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ORIOUS 글로리어스 폴리크로마 V2 RGB 키캡 (0) | 2025.04.13 |
---|---|
SPM 호두나무, 너도밤나무 팜레스트 시리즈 (0) | 2025.03.16 |
ABKO AKN10BT 반알만한 무접점 무선 키보드 (0) | 2025.03.16 |
COX CMF104 8K 보타니컬 무접점 키보드 (1) | 2025.03.13 |
몬스타 가츠 스텔라 75 & 87 베어본(D.I.Y) 기계식 키보드 (1) | 2025.03.09 |
댓글